본문 바로가기
회계 및 세무

우리나라 회계기준 세 가지

by HappyPark 2022. 4. 6.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나라에서 사업을 하는 기업들에 적용되는 회계기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회계처리는 통일된 지침과 규칙에 따라 기록되어야 하며, 이러한 회계기준을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을 기업회계기준이라고 부릅니다. 

 

Photo by Firmbee.com on Unsplash

 

이러한 회계기준은 크게 3 가지가 있습니다. 

 

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라고도 부릅니다.)

2. 일반기업회계기준

3. 중소기업회계기준

 

회사는 위 회계기준들 중에 선택하여 적용 할 수 없으며, 회사의 상황(상장여부, 외부감사여부, 특정산업 영위 등)에 따라 회계기준이 적용됩니다. 

 

회계라는 것이 단순히 한 기업의 기록만이 아닌 정보로서의 공공재 성격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장기업들은 더욱 정교하고 실질을 잘 나타낼 수는 K-IFRS를 적용하게 되고 외감 비상장회사들은 일반기업회계기준, 비외감기업은 중소기업회계기준을 적용하게 됩니다. 

 

회계기준 적용대상 관련법률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상장주식회사, 상장예정회사, 금융기업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일반기업회계기준 비상장인 외부감사대상회사
중소기업회계기준 외부감사대상이 아닌 기업 상법

 

다만, 비상장인 외부감사대상회사인 경우에도 K-IFRS 적용이 가능합니다. 희망할 경우 국제회계기준 적용을 허용하고 있으며, 적용 이후에는 변경은 불가능합니다. 

 

또한, 중소기업회계기준을 적용하는 기업의 경우, 중소기업회계기준의 내용이 거래를 설명할 수 없을 경우 일반기업회계기준을 회계처리에 준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